채권최고액
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
금융기관입장에서 담보대출후 설정을 잡을 때
원금의 20%~30% 높게 부동산에 설정을 하는 금액입니다.
20%~30%를 높게 설정하는 이유는
원금+이자+연체이자+경매비용 등
채무자가 원금을 연체한 경우 발생할수 있는 비용을 설정해서
금융기관의 손해를 방지하는 금액이라고 보면 될듯합니다.
예를 들어서 등기부등본이 다음과 같다면.
순위번호 |
등 기 목 적 |
접 수 |
등기원인 |
권리자 및 기타사항 |
1 |
근저당권설정 |
2014년 4월5일 제*****호 |
2014년 4월 5일 설정계약 |
채권최고액 금 84,000,000원 채무자 김갑동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.******* 근저당권자 주식회사 기업은행 ****** 서울 중구 ************** |
2 |
근저당권설정 |
2014년 4월6일 제*****호 |
2014년 4월 6일 설정계약 |
채권최고액 금 96,000,000원 채무자 김갑동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.******* 근저당권자 주식회사 기업은행 ****** 서울 중구 ************** |
3 |
근저당권설정 |
2014년 4월7일 제*****호 |
2014년 4월 7일 설정계약 |
채권최고액 금 120,000,000원 채무자 김갑동 서울시 강남구 논현동.******* 근저당권자 주식회사 기업은행 ****** 서울 중구 ************** |
1번 근저당은 채권최고액이 84,000,000원 ÷ 120% = 70,000,000원이 원금이고
2번 근저당은 채권최고액이 96,000,000원 ÷ 120% = 80,000,000원이 원금이며
3번 근저당은 채권최고액이 120,000,000원 ÷ 120% = 100,000,000원이 원금입니다.
120%를 나누는 이유는 금융기관에서 120% 설정을 했으므로 120%로 나누면 원금이 되는거 아시겠죠?
일반적으로 은행, 보험사는 120%, 저축은행등은 130%, 사금융등은 150%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120%로 나눠서 금액이 딱 떨어지지 않는다면 130%로 나눠보면 딱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.
'경제 지식 St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저당이란 채권최고액이란 (6) | 2016.02.01 |
---|---|
신혼부부를 위한 정부지원제도 (0) | 2016.01.31 |
전세계약시 유의해야 할 사항 3가지 (0) | 2016.01.27 |
확정일자란 (0) | 2016.01.27 |
평수계산 계산기 없이 쉽게 하는 방법 (2) | 2016.01.26 |